|
|
|
|
|
1
|
제 01 훈 - 불아불아 (弗亞弗亞)
|
|
자세히보기
|

- 불아불아란, 하늘처럼 맑은 아이가 하늘에서 내려왔다가 다시 하늘로 돌아가는 귀한 존재라는 뜻입니다. 불아불아에는 세상을 밝히는 큰 사람이 되라는 조상들의 가르침이 담겨있답니다 .
-

|
2
|
제 02 훈 - 시상시상 (恃想恃想)
|
|
자세히보기
|

- 시상시상이란,‘웃어른을 공경하여 하늘의 뜻을 다 하겠다'는 뜻입니다. 여기에는, 하늘을 섬기듯이 웃어른을 섬기면 하늘에 이르러 하나님의 밝은 마음을 가질 수 있다는 조상들의 가르침이 담겨있습니다.
-

|
3
|
제 03 훈 - 도리도리 (道理道理)
|
|
자세히보기
|

- ‘도리도리’란, 천지 만물이 하늘의 도리로 생겨났으니 사람 역시 도리를 다하며 살아야한다는 뜻입니다. 여기에는, 삶의 목표를 바르게 세우고, 양심을 밝히라는 선조들의 가르침이 담겨있습니다.
-

|
4
|
제 04 훈 - 지암지암 (持闇持闇)
|
|
자세히보기
|

- ‘지암지암’이란 손으로 쥐거나, 잡는다는 뜻으로, 바른 진리를 잘 선택하여 쓰라는 뜻입니다. 여기에는, 참된 것은 잡아서 실천하고, 잘못된 것은 가려서 멀리하라는 우리 조상들의 지혜가 담겨있습니다.
-

|
5
|
제 05 훈 - 곤지곤지 (坤地坤地)
|
|
자세히보기
|

- ‘곤지곤지’란 하늘과 땅에 담긴 음양의 조화를 알고, 덕을 쌓으라는 뜻입니다.‘곤’은 하늘을 뜻하고, ‘지’는 땅을 뜻하는데, 여기에는, 하늘과 땅의 이치를 깨달아 바르고 참다운 일을 행하라는 조상들의 지혜가 담겨있습니다.
-

|
6
|
제 06 훈 - 섬마섬마 (西魔西魔)
|
|
자세히보기
|

- ‘섬마섬마’란, '서다'의 준말로, 몸의 감각을 깨워 혼자 설 수 있는 힘을 키우라는 뜻입니다. 여기에는, 모든 아이를 귀한 인격체로 보고, 아이의 독립심과 주체성을 키워주는 조상들의 지혜가 담겨 있습니다.
-

|
7
|
제 07 훈 - 업비업비 (業非業非)
|
|
자세히보기
|

- 업비업비란, 아이에게 해서는 안 되는 것을 가르칠 때 하는 말로, "애비애비~" 라고도 합니다. 여기에는, 이치에 맞지 않는 일을 삼가하고, 모두에게 좋은 일을 하라는 조상들의 가르침이 담겨있답니다.
-

|
8
|
제 08 훈 - 아함아함 (亞含亞含)
|
|
자세히보기
|

- 아함아함이란,‘사람 안에 작은 우주가 있다’는 뜻입니다. 두 손을 가로 모아 잡으면 한자 '아(亞)' 모양이 되는데 이것은 하늘과 땅이 내 몸속에서 하나가 된다는 것을 상징합니다.
-

|
9
|
제 09 훈 - 짝작꿍 짝작꿍 (作作弓 作作弓)
|
|
자세히보기
|

- 짝작꿍이란, 음과 양의 에너지가 맞부딪혀 삶의 이치를 깨달았으니 손뼉을 치며 기쁘게 노래하고 춤을 추자는 뜻입니다. 여기에는, 박수를 치면 온 몸에 기운이 통해 건강해진다는 조상들의 지혜가 담겨 있습니다.
-

|
10
|
제 10 훈 - 질라아비 훨훨의 (地羅阿備 活活議)
|
|
자세히보기
|

- 질라아비 훨훨의란, 나팔을 불며 춤을 추는 동작으로, 우주의 모든 이치를 깨닫고 하늘과 땅의 기운을 받아 건강해지라는 뜻입니다. 질라아비는 단군할아버지를 뜻하는데, 단군할아버지가 아이의 앞 길을 훨훨 인도해 건강하고 지혜롭게 자란다는 의미가 담겨 있습니다.
-

|